질환백과
- 정의
- 기관 협착이란 선천적 혹은 후천적인 요인으로 인해 기관이 완전 또는 불완전하게 폐색된 상태를 의미합니다.  
- 원인
- 기관 협착이 발생하는 가장 흔한 원인은 기도 삽관입니다. 이 경우 장기간의 구강을 통한 삽관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나 기관 절개술 후에도 흔히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그 외의 원인으로는 결핵 등의 감염, 외상, 각종 기도의 종양이 있습니다. - 드물지만 선천성 기도 협착도 있습니다. 선천성 기관 협착은 기관에 망(web)과 같이 아주 국소적으로 협착하는 경우부터 기관 전장을 광범위하게 침범하는 경우까지 다양한 병리 소견이 확인됩니다. 
- 증상
- 기관 협착의 증상으로는 호흡곤란, 식사 시 반복되는 사레들림, 반복되는 폐렴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 진단
- 영상의학 검사를 시행하여 기관이 좁아진 부위의 정확한 위치와 그 길이를 파악합니다. 가장 기본적인 방사선 검사는 경부 단순 X-선 촬영입니다. 성인의 경우 CT나 MRI 같은 검사가 도움이 됩니다. - 기관 절개관을 삽입했던 경우에는 기관 절개 부위를 통해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여 진단할 수 있습니다. 
- 치료
- 기관 협착에 대한 치료는 원인과 관계없이 병변 부위의 길이에 따라 결정합니다. -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기도 절개(병변 부위의 절제) 및 단단 문합술입니다. 기도 절개 및 단단 문합술을 시행하여 기도를 확보하고 적절한 발성을 가능하게 하고 흡인이 일어나지 않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기관 내 병변의 길이가 단단 문합술이 가능할 정도로 제한적이어야 시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선천성 기관 협착과 같이 병변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적용하기 어렵습니다. 이 경우에는 심낭이나 자가 연골을 이용하는 방법 등을 사용합니다. 
- 기도
- 서울아산병원
서울아산병원은 신뢰도 있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하여 더 건강한 사회 만들기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콘텐츠 제공 문의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