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료진
  • 진료예약
  • 예약조회
  • 병원안내
  • 건강 정보
예약 및 문의 1688-7575
메뉴열기

서울아산병원

serch
닫기

검색어 삭제 검색

질환백과

허혈성 심질환(Ischemic heart disease)

동의어 : 허혈성심장병,허혈성심장질환

정의

허혈성 심질환은 혈액 공급에 장애를 일으키는 심장 질환을 말합니다.

 

심장은 혈액을 온몸에 보내는 펌프 역할을 합니다. 심장은 대부분 심근이라는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심근이 수축과 확장을 하는 힘으로 펌프 작용이 이루어집니다. 이 펌프 작용을 쉬지 않고 계속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원은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하는 혈액입니다. 이 혈액을 심근에 보내고 있는 전용 혈관이 관(상)동맥입니다. 급성 허혈성 관상 동맥 질환(Acute Ischemic Coronary Syndromes)은 심근 괴사를 통한 심근의 허혈 상태에 따라 정의합니다.


① 불안정성 협심증(Unstable Angina Pectoris)
② 급성 심근경색(Acute Myocardial Infarction)
③ 안정성 협심증(Stable Angina Pectoris)

 

상대정맥 상행대동맥 폐동맥 하대정맥 오른쪽 관상동맥 우심실 왼쪽 관상동맥 좌심실의 위치와 관상동맥의 예시

 

동맥 경화 때문에 이 관동맥의 어딘가가 막히면 그 관동맥에서 혈액을 공급받는 부분의 심근은 혈액이 흐르지 않으므로 에너지가 부족해져 괴사합니다. 이것이 심근경색입니다. 관동맥으로부터 혈액 공급이 한때는 불충분하더라도 단시간 동안에 혈류가 다시 흐르면 심근은 괴사를 면하는데, 이것이 협심증의 발작 상태입니다.

 

그러나 협심증 증세는 사람이 운동을 중지하거나 흥분을 가라앉히면 역시 소실됩니다. 안정 상태에서는 심근의 산소 필요량이 적기 때문에 협착된 관상동맥으로서도 필요량을 충족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심근에 대한 적절한 산소의 수요-공급 균형은 상당한 여유가 있는 것이어서 관상동맥 내경이 70% 정도 막힐 때까지도 별다른 증상을 느끼지 못하고 지냅니다. 70% 이상이 막히면 비로소 협심증 증세를 나타납니다.

 

심근은 막힌 관상 동맥이 6시간 이내에 다시 개통되지 않는다면, 영구적 괴사가 일어납니다. 심근경색의 임상적 경중의 정도는 얼마나 큰 관상 동맥이 막혔는지, 괴사를 일으킨 심근의 범위가 얼마나 넓은지에 달려 있습니다. 괴사 범위가 클수록 심장의 펌프 작용 능력이 약해지는 것은 당연합니다. 이로 인해 여러 심부전이 초래될 것입니다.

 

한 가지 중요한 것은 산소 부족이 된 심근은 자극 받기 쉬운 상태가 되어 여러 부정맥이 야기된다는 점입니다. 부정맥 종류에 따라서는 심장이 정지하면서 급사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급성 심근경색증의 위험한 고비는 발병 후 3일 내지 1주일입니다. 이 시기를 무사히 넘기면 대개 회복기에 들어서며, 10일 내지 12일 후에는 안심할 수 있습니다.